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금융사 매칭엔진 개발사가 주관사이나, 암호화폐 입출금에 대해서 지식이 낮았음
- 비트코인, 이더리음, 트론, 리플, ADA, EOS 등의 입출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개발 시간을 맞추기 힘들었음
2) 목표
- 베타 런칭 이전에 코인 입출금 정상화
3) 해결 방법
- 비트코인, 이더리움, 트론, 리플 등의 노드 구축 및 자체 싱크
- 각 노드의 JSON-RPC 호출 및 기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Data Insert 등을 중개하는 중개 서버 셋업
- 블록 데이터 업데이트 직후 입출금 시그널 발생 등으로 거래 원장 시스템과 동기화
- 수수료 등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
- 금융사 매칭엔진 개발사가 주관사이나, 암호화폐 입출금에 대해서 지식이 낮았음
- 비트코인, 이더리음, 트론, 리플, ADA, EOS 등의 입출이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개발 시간을 맞추기 힘들었음
2) 목표
- 베타 런칭 이전에 코인 입출금 정상화
3) 해결 방법
- 비트코인, 이더리움, 트론, 리플 등의 노드 구축 및 자체 싱크
- 각 노드의 JSON-RPC 호출 및 기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Data Insert 등을 중개하는 중개 서버 셋업
- 블록 데이터 업데이트 직후 입출금 시그널 발생 등으로 거래 원장 시스템과 동기화
- 수수료 등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
프로젝트 성과
거래소 런칭
국내 최초, 유저별 개인 지갑 (거래소 집체 지갑 미존재) 를 갖는 HSM 기반 커스터디 시스템 제공
주요 블록체인 노드 운영
비트코인, 이더리음, 트론, 리플, ADA, EOS 등의 주요 메인넷 운영 및 연동
핵심 기능
실시간 입출금
출금 요청 후 즉시 출금 진행
탈레스 HSM 기반 키생성
HSM 장비 내 키 생성 및 서명 등의 작업
주요 메인넷 노드의 성공적인 운영
비트코인, 이더리음, 트론, 리플, ADA, EOS 등 당시 대부분 메인넷 직접 운영
진행 단계
요구사항 정의
2018.03.
고객 요구사항 파악
개발
2018.05.
기존 원장 시스템 및 API 호출 시스템 연동 후 입출금 및 거래 시스템 구성.
거래 원장과 데이터 맵핑 등 작업
거래 원장과 데이터 맵핑 등 작업
프로젝트 상세
KDEX 거래소 내 사용되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퀀텀, 비트코인 캐쉬, 이더리움, 이더리움 클래식, 트론, 리플, ADA(CARDANO-SL), EOS 관련 사이닝 서버 및 지갑을 제작하였습니다.
1. 암호화폐에서 사용하는 비밀키/공개키(+ 암호화폐 주소)를 유도해내고, 이를 HSM 장비에 넣는 과정 일체
2. HSM 장비 기반으로 비밀키를 이용한 트랜젝션 사이닝 일체
3. 트랜젝션 데이터의 조회 및 DB에 업데이트
4. 각 암호화폐 노드와 JSON-RPC, REST API를 이용한 통신 및 운용
5. 각 암호화폐 노드의 설치, 운용, 블록 데이터 동기화 관리, 전체 운용 메뉴얼 제작
6. ERC20 토큰 등 각 암호화폐에서 구현된 토큰의 트랜젝션 생성 및 조회에 대한 것 일체
1. 암호화폐에서 사용하는 비밀키/공개키(+ 암호화폐 주소)를 유도해내고, 이를 HSM 장비에 넣는 과정 일체
2. HSM 장비 기반으로 비밀키를 이용한 트랜젝션 사이닝 일체
3. 트랜젝션 데이터의 조회 및 DB에 업데이트
4. 각 암호화폐 노드와 JSON-RPC, REST API를 이용한 통신 및 운용
5. 각 암호화폐 노드의 설치, 운용, 블록 데이터 동기화 관리, 전체 운용 메뉴얼 제작
6. ERC20 토큰 등 각 암호화폐에서 구현된 토큰의 트랜젝션 생성 및 조회에 대한 것 일체

KDEX 거래소 설명서 1

KDEX 거래소 설명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