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대검찰청이 매년 발행하는 '범죄통계' 책자는 방대한 분량으로 특정 자료 검색에 많은 시간 소요
1960년대부터 축적된 60년 이상의 범죄 통계 데이터가 종이 문서로만 존재하여 접근성 저하
연도별, 범죄 항목별 추이 분석을 위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비교해야 하는 불편함
연구자들이 필요한 통계 자료를 신속하게 찾고 활용하기 어려운 환경
2) 프로젝트 목표
디지털화: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모든 범죄통계 데이터를 Database화하여 영구 보존
접근성 강화: 웹 기반 시스템으로 시공간 제약 없이 연구자와 국민 누구나 통계 자료 조회 가능
직관적 UI: FLEX 개발툴 활용으로 Flash 기반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제공
분석 기능 강화: 연도별, 범죄항목별 추이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연구 효율 향상
3) 주안점
데이터 정확성: 60년 이상의 방대한 통계 데이터 입력 후 철저한 검증 프로세스 수행
사용자 중심 설계: 통계 자료 조회를 위한 직관적 화면 구성 및 검색 편의성 최대화
확장 가능성: 초기 PC용 내부 연구자 전용에서 웹 기반 공개 서비스로 목표 확장
기술 선택: Flash 기반 FLEX 개발툴로 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통계 조회 환경 구현
대검찰청이 매년 발행하는 '범죄통계' 책자는 방대한 분량으로 특정 자료 검색에 많은 시간 소요
1960년대부터 축적된 60년 이상의 범죄 통계 데이터가 종이 문서로만 존재하여 접근성 저하
연도별, 범죄 항목별 추이 분석을 위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비교해야 하는 불편함
연구자들이 필요한 통계 자료를 신속하게 찾고 활용하기 어려운 환경
2) 프로젝트 목표
디지털화: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모든 범죄통계 데이터를 Database화하여 영구 보존
접근성 강화: 웹 기반 시스템으로 시공간 제약 없이 연구자와 국민 누구나 통계 자료 조회 가능
직관적 UI: FLEX 개발툴 활용으로 Flash 기반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제공
분석 기능 강화: 연도별, 범죄항목별 추이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연구 효율 향상
3) 주안점
데이터 정확성: 60년 이상의 방대한 통계 데이터 입력 후 철저한 검증 프로세스 수행
사용자 중심 설계: 통계 자료 조회를 위한 직관적 화면 구성 및 검색 편의성 최대화
확장 가능성: 초기 PC용 내부 연구자 전용에서 웹 기반 공개 서비스로 목표 확장
기술 선택: Flash 기반 FLEX 개발툴로 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통계 조회 환경 구현
프로젝트 성과
60년간 범죄통계 DB 구축 및 무료 공개 서비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범죄통계 완전 디지털화. 웹 기반 무료 공개로 연구자 및 국민 접근성 100배 향상, 통계 조회 시간 90% 단축.
핵심 기능


범죄통계 DB 기반 검색 및 추이 분석 시스템
1960년대부터 누적된 범죄통계 통합 검색, 연도별·범죄항목별 추이 자동 분석 및 차트 시각화, FLEX 기반 직관적 UI, 무료 공개 서비스 제공.
진행 단계
기획 디자인 개발 테스트 런칭
2010.06.
범죄통계조회시스템 개발. 60년간 통계 데이터 DB화 및 검증, FLEX 기반 웹 서비스 구축, 연도별·범죄항목별 추이 분석 기능 구현, 공개 서비스.
프로젝트 상세
대검창철에서 매 년 '범죄통계'라는 책을 출간합니다. 1년동안의 발생한 범죄의 발생 및 검거에 대한 분석 자료를 정리한 책입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는 연구 자료를 쉽게 검색하고 통계 자료에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범죄통계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방대한 자료를 입력하고, Database화하고 자료를 검증하고 사용자가 통계 자료를 보다 쉽게 조회하기 위한 화면 구성과 누적된 자료를 년도별 범죄항목별 추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하는등 방대한 작업이었습니다.
최초의 기획은 연구원의 내부 연구자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PC용 프로그램 버전 개발이 진행되다가 몇차례의 내부 논의끝에 대상 년도를 확장하고 웹버전으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보다 손쉬운 화면을 제공하는 개발툴을 고민하다가,
FLEX라는 개발툴로 개발하였습니다. FLEX는 사이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Flash를 업무용으로 개발하기 위한 언어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현재 범죄통계조회서비스는 무료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www.kic.re.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방대한 자료를 입력하고, Database화하고 자료를 검증하고 사용자가 통계 자료를 보다 쉽게 조회하기 위한 화면 구성과 누적된 자료를 년도별 범죄항목별 추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하는등 방대한 작업이었습니다.
최초의 기획은 연구원의 내부 연구자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PC용 프로그램 버전 개발이 진행되다가 몇차례의 내부 논의끝에 대상 년도를 확장하고 웹버전으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보다 손쉬운 화면을 제공하는 개발툴을 고민하다가,
FLEX라는 개발툴로 개발하였습니다. FLEX는 사이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Flash를 업무용으로 개발하기 위한 언어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현재 범죄통계조회서비스는 무료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www.kic.re.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