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문제점:
• 세종시 다양한 서비스들은 기능별로 나뉘어져 있어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찾기 어려움
• 서비스를 하나로 연계하고 데이터 중앙화를 통해 시민들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일 플랫폼 구축 필요
• 기존 챗봇의 경우 시민과 플랫폼 간의 자유로운 소통에 한계가 있음
작업 목표:
• 세종시 웹페이지에 질의응답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LLM 기반 AI 서비스 구축
• 세종시 도서관 데이터 및 세종시의 방대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참고 및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문에 대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
• 세종시 다양한 서비스들은 기능별로 나뉘어져 있어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찾기 어려움
• 서비스를 하나로 연계하고 데이터 중앙화를 통해 시민들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일 플랫폼 구축 필요
• 기존 챗봇의 경우 시민과 플랫폼 간의 자유로운 소통에 한계가 있음
작업 목표:
• 세종시 웹페이지에 질의응답 인터페이스 형식으로 LLM 기반 AI 서비스 구축
• 세종시 도서관 데이터 및 세종시의 방대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참고 및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문에 대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
프로젝트 성과
응답 시간
평균 답변 시간 5.58초로 목표였던 10초에서 단축
응답 정확도
할루시네이션을 최소화하여 응답 성능 95% 달성
사용자 만족도
사용 용이성, 응답 정확성, 응답 시간, 전반적 만족도 조사를 통해 평균 점수 7.03 달성
사용자 참여도
Google Analytics 연동 분석후 DAU 112명 달성
핵심 기능

통합 질의응답 서비스
대표 홈페이지·도서관·민원콜센터·SNS 등 다원화된 데이터 소스 통합 학습

PC·모바일 반응형 인터페이스 제공
여러 디바이스에서 호환이 가능하게 반응형으로 개발 진행됐습니다
진행 단계
세종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2024.05.
대표홈페이지, 민원콜센터, 세종시 도서관, 주요 공지사항, 세종시 밴드, 읍면동 정보, 보건소 데이터 등 6,000 종류의 전문 정보 학습
벡터 DB 설계 및 구축
2024.06.
chromaDB를 이용한 벡터 DB 설계. 세종시에서 제공된 API를 통해 매일 최신 정보를 불러와서 새롭게 업데이트가 됩니다.
RAG 기반 LLM 엔진 구축
2024.07.
벡터 DB를 통해 유사한 문서들을 찾고 답변을 생성합니다. DB에 없는 내용일 경우 tavily의 웹서치 기능으로 답변을 작성합니다.
서버 연동 및 UI/UX 개발
2024.08.
여러 차례의 유저 테스팅을 통해 사용성을 높힌 UI/UX 디자인 및 개발 진행했습니다.
성능 테스트 및 품질 검증
2024.11.
시민들 대상으로 오픈 베타를 진행해 추가적인 성능 테스팅과 사용자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 세종시 통합 AI 챗봇 서비스‘AI 충녕’
- 세종시 생활·행정·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LLM 기반으로 통합 제공
- RAG 구조를 활용해 공공 데이터와 실시간 API 정보를 결합, 맞춤형·맥락 기반 답변 지원
- 텍스트 질의응답, 위치 기반 생활편의 안내 등 스마트시티 특화 기능 제공
2) 작업 범위
[프론트엔드]
- React + TypeScript 기반 SPA 개발
- 질의응답 UI, 카테고리형 FAQ,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
[백엔드]
- Python 기반 REST API 서버 개발
- ChromaDB 기반 RAG 검색 구조 설계
- Azure OpenAI GPT 모델 연동
- 데이터 자동 수집·가공 파이프라인 구축
- 실시간 API (날씨, 행사, 교통, 위치 기반 정보) 연동
[인프라]
- Docker 컨테이너 기반 배포
- Azure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운영
- 네이버 클라우드 보안 정책 준수, 개인정보 비수집 원칙 적용
[데이터 연동]
- 세종시 대표 홈페이지·도서관·민원콜센터·SNS·공지사항 등 6,000 여 종 공공데이터 학습
- 위치 기반 생활편의시설 API 연동
- 주제별·시점별 정보 검색 및 비교 응답 기능 구현
3) 주요 업무
- 데이터 수집·전처리: 공공 웹·문서 데이터 수집, RAG 학습용 벡터 DB 구성
- API 설계: 질의응답 처리, 실시간 정보 조회, 위치 기반 안내, 카테고리별 FAQ 제공
- UI/UX 개발: 반응형 웹 인터페이스, 대화형 질의응답 화면 구현
- 챗봇 로직 최적화: Prompt Engineering, Function Calling 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결합 응답
- 배포·운영: Docker 기반 컨테이너 빌드 및 Azure 환경 배포, 로그 분석 및 성능 모니터링
- 사용자 피드백 반영: 설문 조사 및 사용 로그 분석을 통한 기능 개선(관광·교통·여민전 정보
강화)
- 세종시 통합 AI 챗봇 서비스‘AI 충녕’
- 세종시 생활·행정·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LLM 기반으로 통합 제공
- RAG 구조를 활용해 공공 데이터와 실시간 API 정보를 결합, 맞춤형·맥락 기반 답변 지원
- 텍스트 질의응답, 위치 기반 생활편의 안내 등 스마트시티 특화 기능 제공
2) 작업 범위
[프론트엔드]
- React + TypeScript 기반 SPA 개발
- 질의응답 UI, 카테고리형 FAQ,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
[백엔드]
- Python 기반 REST API 서버 개발
- ChromaDB 기반 RAG 검색 구조 설계
- Azure OpenAI GPT 모델 연동
- 데이터 자동 수집·가공 파이프라인 구축
- 실시간 API (날씨, 행사, 교통, 위치 기반 정보) 연동
[인프라]
- Docker 컨테이너 기반 배포
- Azure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운영
- 네이버 클라우드 보안 정책 준수, 개인정보 비수집 원칙 적용
[데이터 연동]
- 세종시 대표 홈페이지·도서관·민원콜센터·SNS·공지사항 등 6,000 여 종 공공데이터 학습
- 위치 기반 생활편의시설 API 연동
- 주제별·시점별 정보 검색 및 비교 응답 기능 구현
3) 주요 업무
- 데이터 수집·전처리: 공공 웹·문서 데이터 수집, RAG 학습용 벡터 DB 구성
- API 설계: 질의응답 처리, 실시간 정보 조회, 위치 기반 안내, 카테고리별 FAQ 제공
- UI/UX 개발: 반응형 웹 인터페이스, 대화형 질의응답 화면 구현
- 챗봇 로직 최적화: Prompt Engineering, Function Calling 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결합 응답
- 배포·운영: Docker 기반 컨테이너 빌드 및 Azure 환경 배포, 로그 분석 및 성능 모니터링
- 사용자 피드백 반영: 설문 조사 및 사용 로그 분석을 통한 기능 개선(관광·교통·여민전 정보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