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문제점
-콘텐츠를 사진 또는 일러스트로 진행할지 여부는 A-B Test를 통해 선호도 파악 필요
-사진 또는 일러스트 사용시 저작원 이슈(소스 구매여부 확인)
2.프로젝트 목표
-기존 서비스는 텍스트로 설명되는 부분이 많았고, 텍스트 양이 많았고, 휴대폰 화면 안에 모두 넣지 말것
-일부 인포그래픽 또는 그래프 요소 추가
3.주안점
-최대한 이미지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픽 작업 비중을 높일것
-사후관리 콘텐츠를 재미있고 발랄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분위기 변화가 필요
-콘텐츠를 사진 또는 일러스트로 진행할지 여부는 A-B Test를 통해 선호도 파악 필요
-사진 또는 일러스트 사용시 저작원 이슈(소스 구매여부 확인)
2.프로젝트 목표
-기존 서비스는 텍스트로 설명되는 부분이 많았고, 텍스트 양이 많았고, 휴대폰 화면 안에 모두 넣지 말것
-일부 인포그래픽 또는 그래프 요소 추가
3.주안점
-최대한 이미지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픽 작업 비중을 높일것
-사후관리 콘텐츠를 재미있고 발랄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분위기 변화가 필요
프로젝트 성과
사용자 건강분석 AI 실행하는 Preloader 제작
실제 사용자 체류시간, CTA 버튼 전환율이 현저하게 증가했다. 오히려 기존 이탈률에서 30% 이상이 줄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콘텐츠를 그래픽 요소로 변경하면서, 체류시간이 늘어갈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했다.
핵심 기능



"AI 분석하기" CTA 전환율
AI로 내 건강을 분석하려면, 개인정보 동의를 거쳐야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 데이터 보안에 너무나 민감한 반응이였다. 그래서 분석 화면 전에 데이터가 암호화되고, 개인식별정보 삭제를 온보딩 했다.
진행 단계
분석 기획 디자인 개발 테스트 론칭
2020.08.
기존 1.0 버전의 결과지 서비스는 텍스트 양이 대부분이였고, 내용도 너무 전문적인 단어 사용으로 일반인도 어려운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AI 질환분석을 선택하면, 그 이후에 전문적인 리포트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설계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기존 서비스가 텍스트 위주의 어려운 설명이였다면, 2.0버전은 생동감있게 살아있는 콘텐츠로 그래픽 요소로 변경됨
2) 작업 범위: 전반적인 아이콘, 일러스트 이미지 제작, 디자인 스타일 가이드 제작
3) 주요 업무: 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AI 알고리즘 분석 결과로 내 건강 상태가 100분위로 표시됨
4) 주요 임팩트
-기존의 서비스보다 그래픽 요소가 많이 들어갈 것.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AI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UX writing 요소 포함)
-결과 값이 그래프 요소 또는 인포그래픽 요소로 이해가 쉽도록 구현
2) 작업 범위: 전반적인 아이콘, 일러스트 이미지 제작, 디자인 스타일 가이드 제작
3) 주요 업무: 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AI 알고리즘 분석 결과로 내 건강 상태가 100분위로 표시됨
4) 주요 임팩트
-기존의 서비스보다 그래픽 요소가 많이 들어갈 것.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AI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UX writing 요소 포함)
-결과 값이 그래프 요소 또는 인포그래픽 요소로 이해가 쉽도록 구현

사후관리 인트로 화면

Design Style Guide : Color

Design Style Guide : Font

AI 분석 버튼을 누르면, 실제 분석되는 것 처럼 아이콘 무빙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