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문제점
-모든 병원의 문진을 모듈화하여 디자인을 구조화하였지만, 모든 문진 질문을 적용하기는 힘들었다.
(병원마다 작성 방식이 모두 다르고 표준화가 안되어있음)
2.프로젝트 목표
-최대한 상급병원(서울대학병원, 이대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등)의 문진지를 기준으로 모듈화 진행
-대부분 재사용 할 수 있는 UI로 만들되, 예외일 경우에 추가 또는 수정하는 방향으로 제작
3.주안점
-최대한 문진지와 모바일이 이질감이 없도록, 최대한 실제 병원 문진지에 사용된 일러스트(아픈부위 표시 일러스트)를 살림
*만약 일러스트 상태가 안좋은 경우, 더 좋은 이미지로 교체
-기존 문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카톡 메시지를 렌딩하면서 카카오인앱 이슈가 있어 제스처 또는 뒤로가기 버튼 중복 등의 이슈로 중간에 이탈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함(이탈방지)
-대부분의 사용자가 40~60대 고령층이므로, 폰트 크기 조절 기능 탑재
-모든 병원의 문진을 모듈화하여 디자인을 구조화하였지만, 모든 문진 질문을 적용하기는 힘들었다.
(병원마다 작성 방식이 모두 다르고 표준화가 안되어있음)
2.프로젝트 목표
-최대한 상급병원(서울대학병원, 이대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등)의 문진지를 기준으로 모듈화 진행
-대부분 재사용 할 수 있는 UI로 만들되, 예외일 경우에 추가 또는 수정하는 방향으로 제작
3.주안점
-최대한 문진지와 모바일이 이질감이 없도록, 최대한 실제 병원 문진지에 사용된 일러스트(아픈부위 표시 일러스트)를 살림
*만약 일러스트 상태가 안좋은 경우, 더 좋은 이미지로 교체
-기존 문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카톡 메시지를 렌딩하면서 카카오인앱 이슈가 있어 제스처 또는 뒤로가기 버튼 중복 등의 이슈로 중간에 이탈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함(이탈방지)
-대부분의 사용자가 40~60대 고령층이므로, 폰트 크기 조절 기능 탑재
프로젝트 성과
카카오인앱 탈출과 이탈률 60%이상 감소
카카오인앱 자체에도 뒤로가기 버튼이 있었고, 제스처에 따라 종료되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그래서 새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문진을 실행시켜 이탈율이 60%이상 줄었다.
핵심 기능

모바일 문진 서비스 작성 후, PDF 다운로드 보기
문진 완료 후, 문진표는 PDF 파일로 만들어 모바일에 <다운로드 파일에 들어간다. 주 사용자인 40~50대는 파일을 찾는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맨 상단에 <문진결과보기 버튼 선택 시, PDF 뷰어를 실행
진행 단계
분석 기획 디자인 개발 론칭
2020.06.
공단검진(기본검진) 모듈화
-병원 방문자에게 문진 링크를 전달하는 프로세스 그대로 적용(약관동의, 본인인증,전자서명)
-radio button, check box, input field box 템플릿 제작
-병원 방문자에게 문진 링크를 전달하는 프로세스 그대로 적용(약관동의, 본인인증,전자서명)
-radio button, check box, input field box 템플릿 제작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코로나19 시즌에 비대면 모바일 문진 서비스 제공
2) 작업 범위: 리엑트로 빠르게 구조를 잡고, 디자인 리뉴얼 진행
-하이브리드 웹앱 형태
3) 주요 작업: 커버, 기본 문진에 필요한 컴포넌트 작업
-커버 : 병원 로고 또는 이미지
-문진 유형 : radio button, check box, input field box(short, long version)
4) 주안점 : 문진 유형에 따라 템플릿 적용
-병원 주요 색상에 맞도록 Primary Color를 테마 형식으로 변경 가능
2) 작업 범위: 리엑트로 빠르게 구조를 잡고, 디자인 리뉴얼 진행
-하이브리드 웹앱 형태
3) 주요 작업: 커버, 기본 문진에 필요한 컴포넌트 작업
-커버 : 병원 로고 또는 이미지
-문진 유형 : radio button, check box, input field box(short, long version)
4) 주안점 : 문진 유형에 따라 템플릿 적용
-병원 주요 색상에 맞도록 Primary Color를 테마 형식으로 변경 가능

MEDILINX_Survey 2.0 : MDSG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