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미래교육을 위한 디지털 전환은 진행되고 있지만, 교실공간의 디지털 혁신은 미완성
- 기존전자칠판의 활용성이 낮음
- TV, 전자칠판, 태블릿PC등 기자재의 연식이 다르고 환경이 달라 수업중 호환성 문제 발생
- 여러사유로 수업을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원격으로 수업에 참여할 방법이 요구됨
-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한 원격수업기능이 없음
2. 프로젝트 목포
-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 솔루션으로 다양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
- 교실 내 모든 디지털 기기를 손 안에서 통합 제어하는 편리성 제공
-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 One-Stop 서비스로 행정업무 경감 및 지속적 유지보수 지원
- 1:1 및 1:N 모니터링과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개발화 학습 지원
- 교실내 기기와 개인의 기기를 연결하여 디지털 활용 수업 극대화
- 직관적인 UI/UX로 사용이 쉬우며 별도의 하드웨어 구축이 필요 없는 간편함
3. 주안점
-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실현 가능한 디지털 교실
- 총제적 교육 경험 혁신을 위한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교실
- 자유로운 참여와 소통이 매끄럽게 이뤄지는 디지털 교실
- 미래교육을 위한 디지털 전환은 진행되고 있지만, 교실공간의 디지털 혁신은 미완성
- 기존전자칠판의 활용성이 낮음
- TV, 전자칠판, 태블릿PC등 기자재의 연식이 다르고 환경이 달라 수업중 호환성 문제 발생
- 여러사유로 수업을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원격으로 수업에 참여할 방법이 요구됨
-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한 원격수업기능이 없음
2. 프로젝트 목포
-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 솔루션으로 다양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지원
- 교실 내 모든 디지털 기기를 손 안에서 통합 제어하는 편리성 제공
-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 One-Stop 서비스로 행정업무 경감 및 지속적 유지보수 지원
- 1:1 및 1:N 모니터링과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개발화 학습 지원
- 교실내 기기와 개인의 기기를 연결하여 디지털 활용 수업 극대화
- 직관적인 UI/UX로 사용이 쉬우며 별도의 하드웨어 구축이 필요 없는 간편함
3. 주안점
-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실현 가능한 디지털 교실
- 총제적 교육 경험 혁신을 위한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교실
- 자유로운 참여와 소통이 매끄럽게 이뤄지는 디지털 교실
프로젝트 성과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블렌디드 서버 구축
Cloud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솔루션(AWS Elemental Media Package 또는 NCloud 미디어 서비스)를
적용할 수 없는 형태의 프로토콜(RTSP Push)을 국내최초로 개발 및 적용
적용할 수 없는 형태의 프로토콜(RTSP Push)을 국내최초로 개발 및 적용
핵심 기능

교실환경제어
1. 교실내 IoT연동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 수행, 온/습도 센서를 통한 최적 교실환경을 위한 에어컨/난방기 조절
2. 교실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
3. 수업종류에 따른 맞춤형 조명제어
2. 교실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
3. 수업종류에 따른 맞춤형 조명제어


교수학습시스템
1. 수업용 도구 및 기기 모니터링 및 제어
2. 양방향 화면 미러링 및 파일/메시지 송수신
3. 모둠학습 기능 제공
2. 양방향 화면 미러링 및 파일/메시지 송수신
3. 모둠학습 기능 제공


블렌디드 러닝 솔루션
1. 화자추적 카메라와 빔포밍 마이크를 통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및 녹화
2. 화상회의 연동을 통한 외부 학생 수업참여 유도
2. 화상회의 연동을 통한 외부 학생 수업참여 유도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
- 교실 내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을 통합 제공하여, 하나의 플랫폼안에서 기기간 연결, 공유, 모니터링, 제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교실에서 쉽고 편하게 디지털 기기를 통합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 다음과 같은 대상에게 필요한 시스템입니다.
A.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을 활성화 하고 싶은 시/도 교육청
B. 수업에 쉽고 편하게 디지털 기술이 적용가능한 교실환경 조성이 필요한 교사
C. 다양화된 교육과정이나 학사 운영에 맞게 유연한 공간활용이 필요한 학교
2) 작업 범위 :
-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
A. 수업도구 단말(노트북/테블릿/모바일폰)의 화면 공유
B. 기기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 개발
C. 파일 및 메시지 송/수신
D. 모둠학습 모드
- 블렌디드러닝 솔루션
A. 화자추적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및 녹화
B. 화상회의 도구 연동
3) 주요 업무 : 해당 서비스의 주요 기능 및 주요 페이지
- 양방향 미러링을 실시간 영상 공유 수업 기능 개발
- 화자추적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 수업 및 영상 다시 보기 기능 지원, 화상회의 연동
4) 주안점 : 개발 시 중점이 되었던 사항
- 화자추적 카메라를 통한 영상수집 및 다시보기 기능 자체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Auto-Scaling 되어야 하는 조건이 발생함.
- 카메라영상을 수집해서 전달하는 프로토콜 자체가 http 기반이 아닌 RTSP방식이기에 로드밸런서의 변경과 서버간의 데이터 영상데이터의 공유기능이 요구됨
- 사용자가 폭주하거나, 네트워크 문제로 로드밸런서를 통한 VM할당이 변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녹화와 외부 화상회의와의 연계가 용이하도록 전체적이 아키텍쳐 및 S/W 구조 변경 작업을 수행함.
- 교실 내 디지털 기기와 플랫폼을 통합 제공하여, 하나의 플랫폼안에서 기기간 연결, 공유, 모니터링, 제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이 교실에서 쉽고 편하게 디지털 기기를 통합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 다음과 같은 대상에게 필요한 시스템입니다.
A.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을 활성화 하고 싶은 시/도 교육청
B. 수업에 쉽고 편하게 디지털 기술이 적용가능한 교실환경 조성이 필요한 교사
C. 다양화된 교육과정이나 학사 운영에 맞게 유연한 공간활용이 필요한 학교
2) 작업 범위 :
-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
A. 수업도구 단말(노트북/테블릿/모바일폰)의 화면 공유
B. 기기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 개발
C. 파일 및 메시지 송/수신
D. 모둠학습 모드
- 블렌디드러닝 솔루션
A. 화자추적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및 녹화
B. 화상회의 도구 연동
3) 주요 업무 : 해당 서비스의 주요 기능 및 주요 페이지
- 양방향 미러링을 실시간 영상 공유 수업 기능 개발
- 화자추적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 수업 및 영상 다시 보기 기능 지원, 화상회의 연동
4) 주안점 : 개발 시 중점이 되었던 사항
- 화자추적 카메라를 통한 영상수집 및 다시보기 기능 자체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Auto-Scaling 되어야 하는 조건이 발생함.
- 카메라영상을 수집해서 전달하는 프로토콜 자체가 http 기반이 아닌 RTSP방식이기에 로드밸런서의 변경과 서버간의 데이터 영상데이터의 공유기능이 요구됨
- 사용자가 폭주하거나, 네트워크 문제로 로드밸런서를 통한 VM할당이 변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녹화와 외부 화상회의와의 연계가 용이하도록 전체적이 아키텍쳐 및 S/W 구조 변경 작업을 수행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