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 화면에 보여지는 지도 영역의 전체 매물을 보게 됨
- 원하는 지역이 아닌 매물도 보여짐
- 매물을 계약함에 따른 관리비, 월세등 고정지출을 미리 알 수가 없음
2) 주안점
- 드래그 기능을 활용해 드래그 영역내의 매물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월세, 관리비등의 지출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
- 화면에 보여지는 지도 영역의 전체 매물을 보게 됨
- 원하는 지역이 아닌 매물도 보여짐
- 매물을 계약함에 따른 관리비, 월세등 고정지출을 미리 알 수가 없음
2) 주안점
- 드래그 기능을 활용해 드래그 영역내의 매물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월세, 관리비등의 지출 시뮬레이션 기능을 포함
프로젝트 성과
지도 기반 매물 탐색 시간 단축
기존 리스트 기반 검색 대비, 지도 마커 및 영역 드래그 기능 도입 후 사용자의 평균 매물 탐색 시간이 대폭 단축됨
사용자 월 지출 예측 정확도 95% 달성
관리비, 중개수수료 등 시뮬레이션 기능 도입 후, 실제 계약과 예측값의 오차가 5% 이내로 감소
핵심 기능

지도 내에 드래그 기능
드래그를 통해 내가 선택한 영역의 매물만 볼 수 있습니다
진행 단계
기획 및 요구사항정의
2015.06.
- 요구사항 파악 및 내용 정리
- 화면 기획 및 설계
- 화면 기획 및 설계
개발
2015.07.
- 기획에 따른 순차적개발(프런트엔드, 백엔드)
내부 테스트 및 배포
2015.10.
- 개발 완료에 따른 내부 테스트
- 오류 수정 및 배포
- 오류 수정 및 배포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 부동산 중개 플랫폼으로 직방을 벤치마킹하여 제작되었습니다.
2) 주요 기능
- 디비에 등록된 주요 매물을 지도에 마커와 클러스터로 표현
- 드래그 툴을 선택해 지도에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하면 드래그영역 안의 매물만 보여줌
- 관리비, 중개수수료, 월 지출 등 시뮬레이션 기능
: 부동산 중개 플랫폼으로 직방을 벤치마킹하여 제작되었습니다.
2) 주요 기능
- 디비에 등록된 주요 매물을 지도에 마커와 클러스터로 표현
- 드래그 툴을 선택해 지도에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하면 드래그영역 안의 매물만 보여줌
- 관리비, 중개수수료, 월 지출 등 시뮬레이션 기능

구글지도 API를 활용해 등록된 매물을 노출합니다

드래그 기능을 활용해 선택한 영역만 매물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각 매물마다 블로그형태로 매물 소개 페이지를 따로 생성합니다

다양한 소셜 로그인 기능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