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1) 문제점
o 건강검진 기반 데이터의 비활용과 개인별 맞춤형 당뇨병 예측서비스 부재
o 일상 식단, 혈당 데이터, 운동 데이터가 개별 시스템에 분산되어 통합 활용이 어려움
o 당뇨병 고위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예방 기능이 수동적 교육·상담 중심으로 한정
o 건강정보 제공 방식이 일반화되어 사용자별 특성 반영 부족 및 참여 유도력 저하
2) 프로젝트 목표
o 건강검진 결과, 혈당, 식이패턴, 활동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개인 맞춤형 당뇨 예측 서비스 구축
o AI 기반 당뇨병 위험도 분석 및 레포트 제공을 통한 조기 예측 및 위험 요인 시각화 기능 구현
o 걷기미션, 리워드 시스템, 랭킹 기능 등 건강행동 유도 기능 탑재를 통한 지속 사용성 확보
o 건강보험공단 연계 자동 연동 기능을 통해 국가 건강정보와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 통합 관리
3) 주안점
o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정밀도 확보 및 학습 데이터 품질 관리 체계 수립
o Web-앱 간 실시간 연동을 고려한 플랫폼 분리 구조 및 정보 일관성 유지
o 건강검진 이력, CRF, 사용자 행동기록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 통합을 위한 설계 최적화
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및 미션 설계를 통한 장기적 서비스 지속률 확보
o 건강검진 기반 데이터의 비활용과 개인별 맞춤형 당뇨병 예측서비스 부재
o 일상 식단, 혈당 데이터, 운동 데이터가 개별 시스템에 분산되어 통합 활용이 어려움
o 당뇨병 고위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예방 기능이 수동적 교육·상담 중심으로 한정
o 건강정보 제공 방식이 일반화되어 사용자별 특성 반영 부족 및 참여 유도력 저하
2) 프로젝트 목표
o 건강검진 결과, 혈당, 식이패턴, 활동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개인 맞춤형 당뇨 예측 서비스 구축
o AI 기반 당뇨병 위험도 분석 및 레포트 제공을 통한 조기 예측 및 위험 요인 시각화 기능 구현
o 걷기미션, 리워드 시스템, 랭킹 기능 등 건강행동 유도 기능 탑재를 통한 지속 사용성 확보
o 건강보험공단 연계 자동 연동 기능을 통해 국가 건강정보와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 통합 관리
3) 주안점
o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정밀도 확보 및 학습 데이터 품질 관리 체계 수립
o Web-앱 간 실시간 연동을 고려한 플랫폼 분리 구조 및 정보 일관성 유지
o 건강검진 이력, CRF, 사용자 행동기록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 통합을 위한 설계 최적화
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및 미션 설계를 통한 장기적 서비스 지속률 확보
프로젝트 성과
건강검진 기반 개인 맞춤형 예측률 87% 달성
건강검진 및 혈당 데이터를 활용한 AI 모델을 통해 고위험 사용자군에 대한 당뇨병 예측 정밀도 87% 기록
사용자 평균 참여 지속률 60% 이상 유지
걷기미션, 리워드, 랭킹 기능을 통한 지속적 활동 유도 결과 월간 평균 앱 재사용률 60% 이상 유지
건강보험공단 연동 자동화율 95% 달성
사용자 건강검진 이력 자동수집 기능을 통해 수기입력 비율을 대폭 감소시키고 연동 자동화율 95% 확보
핵심 기능

걷기미션 및 건강포인트 리워드 기능
GPS 기반 걷기미션 참여를 통한 걸음수 측정, 포인트 및 랭킹 제공으로 건강 행동 실천 유도

당뇨병 예측 리포트 및 건강 아바타 시각화
임상정보 기반 당뇨병 발생유형과 위험도를 시각화하고, AI 기반 개인 아바타 리포트를 통한 예측 정보 제공

혈당 반응 기반 식사관리 기능
식이패턴 및 혈당변화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개인별 식사 이력 기반 혈당 반응 진단 및 예측 제공
진행 단계
당뇨 예측 서비스 요구사항 도출
2020.03.
임상데이터 활용 방안 정의, 사용자 시나리오 수립, 개인 맞춤형 예측기준 및 건강지표 구성 도출
AI 기반 데이터모델 설계 및 플랫폼 아키텍처 수립
2020.08.
건강검진, 혈당, 식이데이터 기반 예측모델 설계, Web-App 분산 구조 및 정보연동 체계 정의
서비스 플랫폼 및 앱 기능 개발
2021.03.
예측리포트, 걷기미션, 식단관리, 건강점수 등 기능별 모듈 개발 및 사용자 화면 구성
실증 환경 적용 및 고도화
2023.01.
부산지역 실증 적용, 사용자 피드백 기반 기능 개선, AI 예측정확도 개선을 위한 데이터 품질 고도화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
[당뇨프리]는 일상 혈당 및 개인 식단, 운동, 건강지표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형 당뇨병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당뇨 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입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되는 건강검진 결과 연동을 통해 수집된 건강데이터 기반 나의 건강상태에 대한 간편 리포트를 제공하고,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자 개인이 보유한 만성질환(당뇨) 위험요인 및 현재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2) 작업 범위 : 화면 설계, UI/UX 디자인, 서버 구축, Front-end 및 Back-end 개발
- 개발환경
• Front-end : React, Flutter, Typescript
• Back-end : Nest.js
• DB : MySQL
- 서비스 지원환경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Web) : PC / Tablet
• 당뇨 예방 및 관리 서비스 플랫폼(App) : iOS/Android
3) 주요 업무 : 해당 서비스의 주요 기능 및 주요 페이지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Web) 제공 기능
• 전문 의료진의 수집 데이터 관리 플랫폼
• 사용자별/지표별(임상정보, 식이패턴분석, 혈당모델링, 연속혈당 기반) 당뇨병 발생 예측 레포트 및 출력 기능 지원
• 사용자 만족도 조사, 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조회 결과 및 미션 참여상태 관리, CRF 관리
• APP 내 공지사항 관리
- 당뇨 예방 및 관리 서비스 플랫폼(App) 제공 기능
• 사용자의 당뇨병 발생유형 진단 및 이에 따른 위험도 제공, 당뇨병 발생 위험요인 및 혈당반응 진단
• 사용자의 임상정보(건강검진기록)/식이패턴/혈당모델링/연속혈당 기반 개인 맞춤형 당뇨병 발병예측 지표 및 레포트 제공
• 일일 걷기량 측정 및 GPS 위치 기반 걷기미션 수행과 리워드 지급, 랭킹 시스템 도입으로 건강 활동 동기 부여
• 일상생활 식단 데이터 등록 및 실시간 혈당 데이터 제공을 통한 식단관리 기능 지원
• 건강보험공단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검진 최신이력을 자동으로 받아올 수 있도록 제공
- 건강이상자의 조기발견 및 발병위험율 사전 안내
- AI 기반 신장질환, 심혈관질환 예측 모델 결과 제공
4) 주안점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구축 및 다양한 건강 콘텐츠 제공을 통한 사용자 참여 유도
[당뇨프리]는 일상 혈당 및 개인 식단, 운동, 건강지표 분석을 통해 개인 맞춤형 당뇨병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당뇨 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입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되는 건강검진 결과 연동을 통해 수집된 건강데이터 기반 나의 건강상태에 대한 간편 리포트를 제공하고,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자 개인이 보유한 만성질환(당뇨) 위험요인 및 현재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2) 작업 범위 : 화면 설계, UI/UX 디자인, 서버 구축, Front-end 및 Back-end 개발
- 개발환경
• Front-end : React, Flutter, Typescript
• Back-end : Nest.js
• DB : MySQL
- 서비스 지원환경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Web) : PC / Tablet
• 당뇨 예방 및 관리 서비스 플랫폼(App) : iOS/Android
3) 주요 업무 : 해당 서비스의 주요 기능 및 주요 페이지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Web) 제공 기능
• 전문 의료진의 수집 데이터 관리 플랫폼
• 사용자별/지표별(임상정보, 식이패턴분석, 혈당모델링, 연속혈당 기반) 당뇨병 발생 예측 레포트 및 출력 기능 지원
• 사용자 만족도 조사, 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조회 결과 및 미션 참여상태 관리, CRF 관리
• APP 내 공지사항 관리
- 당뇨 예방 및 관리 서비스 플랫폼(App) 제공 기능
• 사용자의 당뇨병 발생유형 진단 및 이에 따른 위험도 제공, 당뇨병 발생 위험요인 및 혈당반응 진단
• 사용자의 임상정보(건강검진기록)/식이패턴/혈당모델링/연속혈당 기반 개인 맞춤형 당뇨병 발병예측 지표 및 레포트 제공
• 일일 걷기량 측정 및 GPS 위치 기반 걷기미션 수행과 리워드 지급, 랭킹 시스템 도입으로 건강 활동 동기 부여
• 일상생활 식단 데이터 등록 및 실시간 혈당 데이터 제공을 통한 식단관리 기능 지원
• 건강보험공단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검진 최신이력을 자동으로 받아올 수 있도록 제공
- 건강이상자의 조기발견 및 발병위험율 사전 안내
- AI 기반 신장질환, 심혈관질환 예측 모델 결과 제공
4) 주안점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구축 및 다양한 건강 콘텐츠 제공을 통한 사용자 참여 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