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배경
이번 프로젝트는 태안에서 주최한 인공지능 박람회에 출품할 작품으로, VR 기기를 보다 친숙하고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을 목표로 진행했습니다.
가장 큰 과제는 VR이나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기기의 사용법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주 타깃층이 초·중·고 학생들이었기 때문에 난이도 조절 역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의뢰 조건에 따라 게임의 형식을 기반으로 제작하되, 기본적인 움직임·수집·퀘스트 요소를 담았습니다. 그러나 오큘러스 HMD 착용 시 버튼 위치를 직접 안내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예를 들어, TTS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버튼과 동작을 음성으로 안내했으며, 미러링 및 듀얼 스크린을 통해 외부에서도 화면과 음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영유아나 노년층처럼 VR 기기에 낯선 사용자들도 주변에서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나리오를 단순히 ‘과제를 수행하는 게임’이 아니라, VR 기기를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흐름으로 재구성하여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그 결과, 박람회 및 시연 기간 동안 참관객들이 가장 체험하고 싶은 콘텐츠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성공적으로 제작 및 납품을 완료하였습니다.
가장 큰 과제는 VR이나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기기의 사용법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주 타깃층이 초·중·고 학생들이었기 때문에 난이도 조절 역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의뢰 조건에 따라 게임의 형식을 기반으로 제작하되, 기본적인 움직임·수집·퀘스트 요소를 담았습니다. 그러나 오큘러스 HMD 착용 시 버튼 위치를 직접 안내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예를 들어, TTS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버튼과 동작을 음성으로 안내했으며, 미러링 및 듀얼 스크린을 통해 외부에서도 화면과 음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영유아나 노년층처럼 VR 기기에 낯선 사용자들도 주변에서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나리오를 단순히 ‘과제를 수행하는 게임’이 아니라, VR 기기를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흐름으로 재구성하여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그 결과, 박람회 및 시연 기간 동안 참관객들이 가장 체험하고 싶은 콘텐츠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성공적으로 제작 및 납품을 완료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성과
현장에서 도움 없이 진행하는데 걸린 시간 감소
초등학생 고학년(4, 5 ,6) 중학생 평균 걸리는 시간 18분에서 마지막 버전 수정 후 10분으로 감소.
퀘스트 완료 50명 중 2명에서 200명 중 80명으로 증가.
퀘스트 완료 50명 중 2명에서 200명 중 80명으로 증가.
핵심 기능
언리얼 엔진, 오큘러스 퀘스트 연동
언리얼 엔진을 통해서 보다 높은 그래픽 제공,
오큘러스 3를 이용해서 끊김 현상 최소화, 최적화 최대화
오큘러스 3를 이용해서 끊김 현상 최소화, 최적화 최대화
진행 단계
세부 기획, 3D 리소스 제작, 엔진 작업, FQA, TQA 진행
2024.09.
전달 받은 컨셉서를 기반으로 기획서 작성
기획을 바탕으로 제작 할 3D 리소스 및 구매할 에셋 선별
사운드 및 TTS 작성
언리얼 엔진 작업
각종 QA 진행
기획을 바탕으로 제작 할 3D 리소스 및 구매할 에셋 선별
사운드 및 TTS 작성
언리얼 엔진 작업
각종 QA 진행
프로젝트 상세
1) 포트폴리오 소개 : 태안 AI 체험학습 VR부분 참여.
2) 작업 범위 : 기획, 레벨 디자인, 게임 로직, 스크립트, UI/UX 디자인
3) 주요 기능 : 가상 현실을 이용한 체험 학습 (사물 그랩, 스캔, 둘러보기 및 이동, 물체 상호 작용 등)
4) 주안점 : 일정과 퀄리티, 체험학습을 위한 난이도 조절 및 편의 기능
2) 작업 범위 : 기획, 레벨 디자인, 게임 로직, 스크립트, UI/UX 디자인
3) 주요 기능 : 가상 현실을 이용한 체험 학습 (사물 그랩, 스캔, 둘러보기 및 이동, 물체 상호 작용 등)
4) 주안점 : 일정과 퀄리티, 체험학습을 위한 난이도 조절 및 편의 기능




